사업추진일지
일시 | 추진내용 |
---|---|
7월 25일 | 출향 인사이신 황재우(전.영남대학교 교수) 박사의 도움으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품종보존원에 예안향교 무궁화 원종이 보존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분양 신청을 추진하기로 함 |
8월 31일 | 산림청으로부터, (사)안동권발전연구소 명의로 묘목 ‘품종보존을 위한 연구’ 목적으로 예안향교에 심겨져 있었던 원 품종 (학명‘애기무궁화’) 3점을 분양받음 |
10월 23일 | 안동권발전연구소 10월 간담회에서 “재래종 무궁화 품종보존과 안동무궁화 보급 및 복원대책”에 관하여 회원 간담회를 가짐 |
11월 10일 | 안동권발전연구소 이사회에서 연구소 부설 안동무궁화보존회 창립을 연구소 30주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정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하기로 함 |
12월 5일 | 안동권발전연구소로부터 안동무궁화보존회 창립과 운영에 필요한 특별회비 1천만 원을 지원받음 |
12월 5일 | 천안 무궁화연구소를 방문하여 심경구(전. 성균관대학교 교수) 박사로부터 예안향교 무궁화(애기무궁화)를 모본으로 한 다양한 안동무궁화(가족) 품종 개발 과정을 청취하고, 개발된 품종들을 구입하여 안동 보화다원 묘목장에 식재 함 |
12월 21일 | 작곡가 겸 가수 심재경에게 안동무궁화 노래 제작을 의뢰함 |
12월 31일 | 출향인사 서정학(신 한국운동추진본부 이사장)님으로 부터 특별 회비 1천만 원을 지원받음 |
* 표를 좌우로 스크롤해주세요!
일시 | 추진내용 |
---|---|
1월 10일 | 안동무궁화보존회 발기를 위한 2차 준비모임을 가짐. |
1월 11일 | 준비위원들이 안동무궁화(가족) 묘목구입 차 천안, 논산 농장을 방문함 |
1월 13일 | 준비위원들이 예안향교 현장을 방문함 |
1월 15일 | 안동무궁화보존회 발기인 45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기인 모임을 가짐. (안동 가톨릭상지대학교 대회의실) |
1월 24일 | 총회 참석 회원용 스카프, 부채 제작을 의뢰함 |
1월 31일 | 준비위원들이 총회 행사 준비차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을 방문하여 협의함 |
3월 1일 | 경상북도독립기념관 대강당에서 회원 및 내빈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연구소 부설 안동무궁화보존회 창립총회 개최를 개최하고,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여 안동무궁화를 기념 식수함(안동무궁화 노래 발표/독립운동기념관 탑 앞 식수/안동댐 3.1 운동 기념탑 앞 식수) |
3월 28일 | 이육사기념관 앞 공원 진입로에 안동무궁화를 심어 꽃길을 조성함 |
5월 23일 | 임원들이 포항 기청산수목원을 현장 답사함 |
7월 13일 | 임원들이 전북 완주 무궁화동산, 충남 논산 무궁화 농장, 태안 무궁화품종보존원, 천리포수목원을 사전 현장 답사함 |
7월 24일 | 임원들이 강원도 홍천 남궁 억 기념관, 무궁화동산, 테마파크를 현장 답사함 |
7월 26일 | 임원들이 천안 무궁화연구소 농장 방문 및 국제 토크콘서트에 참석함 |
7월 31일 | 보존회 회원 30명이 참석하여 천안 무궁화연구소 농장, 태안 무궁화품종보존원, 천리포수목원을 현장 답사함 |
8월 8일 | 회원들에게 안동무궁화(가족) 묘목 2019년도 생산분 1차 분양을 실시함 |
8월 21일 | 안동무궁화 보존·보급 활동계획을 주제로 안동권발전연구소 월례간담회 개최, 발제 : 정원근(보화다원대표) |
9월 26일 | 창작가곡 ‘안동무궁화’가 제작 발표됨(작사 : 안상학, 작곡 : 손정훈, 노래 : 권용일) |
9월 30일 | 안동 MBC에서 안동무궁화를 주제로 “독립의 꽃 다시 피우다” 다큐멘터리를 제작 방송함 |
10월 2일 | 서양화가 최병창 작가로 부터 안동무궁화 심볼 로고를 기증받음. |
10월 15일 | 현재 안동무궁화보존회에 운영회원 25명, 일반회원 62명, 특별회원 11명 등 총 98명의 회원이 참여하고 있음 |
* 표를 좌우로 스크롤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