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연구총서 발간사업
페이지 정보

본문
· 경북 북부지역 발전과 관련된 토론회 및 간담회 개최, 지역에 대한 조사·연구 및 자료집 발간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오면서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총서 발간을 추진함
· 아직도 농림업의 비중이 큰 경북 북부지역의 산업구조를 감안하여 농산물 가공, 산림자원 활용
등에 관한 연구총서 발간을 우선적으로 추진함
연구총서 제 1권 농산물 가공과 지역경제 활성화 : 경북 북부지역 중심으로
발간일 1992. 5.
발간취지
농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경북 북부의 산업구조와 농산물 수입개방 등을
고려하여 농업부분의 유통문제를 경북북부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적
과제로 판단하여 연구 총서의 집필을 경북대학교 농경제학과 류진춘 교수에게
총서 수록 내용
· 경북 산업·경제적 특성과 농업현황
· 농산물 시장개방과 경상북도의 대응
· 경상북도 산지 농산물가공산업 육성 방안
· 산지 농산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연계 시스템
· 산지 농산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
연구총서 제 2권 산림자원과 소득증대 방안
발간일 2005. 12
발간취지
2002년도부터 ‘경북북부 산림자원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지역정책과제를
개발하여 남부지방 산림관리청 및 안동시와 함께 매년 관련 정책토론회와
간담회 개최 및 관련 연구자료 개발에 힘써 왔으며, 이러한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정책 연구총서로 발간을 추진함
총서 수록 내용
제1부 경북 북부지역의 산림 내 경제성 작물 재배를 통한 소득 증대 방안 / 김지홍·강성기
Ⅰ. 서 론
Ⅱ. 임간재배(Forest farming)의 개념과 적용시 고려사항
Ⅲ. 혼농임업 관련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Ⅳ. 우리 나라의 농지, 산지, 혼농임업 정책의 문제점
Ⅴ. 혼농임업 적용을 위한 경북 북부지역의 산림자원 현황
Ⅵ. 결론 및 제언
제2부 경북 북부지역의 임산약용자원을 활용한 농산촌 지역 소득 증대 방안 / 장철수
Ⅰ. 서 론
Ⅱ. 경북 북부지역과 산림자원의 특성
Ⅲ. 경북 북부지역의 임산약용자원 생산실태
Ⅳ. 약용식물의 수급실태
Ⅴ. 임간재배의 필요성 및 문제점
Ⅵ. 임산약용자원을 활용한 농산촌지역 소득 증대 방안
Ⅶ. 결 론
제3부 경북 북부지역의 표고 재배를 통한 소득 증대 방안 / 민경택·석현덕
Ⅰ. 머리말
Ⅱ. 우리 나라 표고산업의 동향과 환경 변화
Ⅲ. 경북북부의 표고 재배 여건과 현황
Ⅳ. 경북북부의 표고산업 발전 방향
Ⅴ. 지역 표고산업 발전을 위한 주요 과제
Ⅵ. 맺음말
연구총서 제 2권 산림자원과 생물산업 육성 방안
발간일 2006. 12.
발간취지
· 경북북부의 지역적, 산업적, 환경적 여건에 비추어 볼 때 경북북부 면적의
약 74%를 차지하고 있는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활용은 매우 시급한
과제로 판단함
· 산림자원과 소득증대 방안을 다룬 제 1권에 이어 산약초, 산림목재, 폐목
등의 산림·임산 자원의 유효적절한 개발과 이용을 중심으로 논의한 결과를
정리함
총서 수록 내용
제1부 산약초 기능식품 개발을 통한 생물산업 육성 방안 / 김도완
Ⅰ. 서 론
Ⅱ. 경북 북부지역 산림 및 임산자원의 현황
Ⅲ. 기능성 식품의 정의와 시장 동향
Ⅳ. 산약초 기능식품 개발 방안
Ⅴ. 경북 북부지역 산약초 가공식품 개발 동향
Ⅵ. 결 론
제2부 산림자원의 매력을 살린 목재상품의 생산 방안 / 이원희
Ⅰ. 서 론
Ⅱ. 국산재 이용현황 및 경제성 검토
Ⅲ. 휨가공 목재의 이용 사례 및 적용범위 조사
Ⅳ. 경관재료 소재로서 Exterior Wood 및 가공목재의 활용 방안
Ⅴ. 결 언
제3부 산림폐목을 활용한 바이오 에너지 생산 방안 / 장한수
Ⅰ. 바이오 에너지란?
Ⅱ. 바이오 에너지의 역사
Ⅲ. 바이오 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Ⅳ. 바이오 에너지 사용 시 장점 및 단점
Ⅴ. 바이오 에탄올 및 디젤유 생산 공정의 특성
Ⅵ. 바이오 에너지 생산비용의 분석
Ⅶ. 바이오 에너지 개발에 관한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의 추진상황
Ⅷ. 국내·외 바이오 에너지 이용 현황 및 계획
Ⅸ. 바이오 에너지 산업화의 문제점
Ⅹ. 바이오 에너지의 경제성 예측
Ⅺ. 외국의 바이오 에너지 지원정책과 지원방향
Ⅻ. 국내의 바이오 에너지 보급 확대정책 및 문제점
- 이전글연구소 논문집 발간사업 24.03.22
- 다음글경북 북부 산림·임산자원 자료집 발간 24.03.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