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부 산림·임산자원 자료집 발간
페이지 정보

본문
· 산림을 가꾸고 활용하는 것은 우리 국가의 발전뿐만 아니라, 생태환경의 보존과 계승 등을 통한 인류의 생존과 복리증진을 위한 필수적 과제임
· 특히 경북 북부지역의 경우 약 74%의 면적을 산지가 차지하고 있어 산림자원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음
· 연구소에서는 2002년도부터 8차례의 ‘산림자원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였으며,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광역자료적인 성격을 지닌 산림·임산자원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을 느껴 자료집을 발간함
발 간 일 2005. 12.
자료의 수록 기간 2002년 ~ 2005년 자료
자료의 수록 대상
자료 수록 기간 내의 경북북부 11개 시·군 토지이용 현황, 산림자원 및
산림서비스 시설 조성 및 이용자 현황
자료수록 내용
Ⅰ. 경북북부 토지이용 현황
1. 경북북부 시·군별 면적 및 행정구역
2. 경북북부 토지 지목중 임야 현황
Ⅱ. 산림자원
1. 산림면적 및 축척
2. 경북북부 임상별 산림면적(입목지)
3. 경북북부 조림 현황
4. 경북북부 보안림 지정현황
5. 경북북부 임산물 생산량
6. 경북북부 용재 생산액 및 생산량
7. 경북북부 수실 생산량 및 생산액
8. 경북북부 산나물 생산량 및 생산액
9. 경북북부 수액 생산량 및 생산액
10. 경북북부 약용식물 생산량 및 생산액
11. 경북북부 농용자재 생산량 및 생산액
12. 경북북부 섬유원료 생산량 및 생산액
13. 경북북부 톱밥 생산량 및 생산액
14. 경북북부 목초액 생산량 및 생산액
15. 경북북부 버섯 생산량 및 생산액
16. 경북북부 조경재 생산량(본) 및 생산액
17. 경북북부 야생화 생산량(본) 및 생산액
18. 경북북부 주요 품목별 주산지 현황(10위까지)
Ⅲ. 산림자원
1. 자연휴양림 이용자 수 추이
2. 경상북도 국유림·휴양림 조성 현황
3. 경상북도 시·군·사유림 조성 현황
4. 경상북도 삼림욕장 조성 현황
5. 경상북도 수목원, 산림박물관 조성 현황
- 이전글지역연구총서 발간사업 24.03.22
- 다음글안동권 지역자료 편람(Ⅱ) 24.03.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