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육성 방안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 과 업 명 ]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육성 방안 연구
[ 과 업 완 료 ] 2009. 2.
[ 과업수행기관 ] 재)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 참 여 연 구 진 ] 남치호(안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안건미(안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최정두(경북바이오 연구원, 책임연구원), 권오인(경북전문대학 사회실무계열 강사)
과업의 개요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의 1단계 생물건강산업(2002 ~ 2007)을 평가한 바탕 위에
2단계사업(2008 ~ 2012)의 방향을 설정하고, 나아가 경북도청 이전에 따른 역할과
기능의 재정립 방안을 모색”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경북 북부지역은 풍부한 생물자원 및 발전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인프라와
연구개발 환경, 우수인재 유치의 어려움 등으로 바이오산업 육성에 애로를 겪고 있었음
· 2002년부터 2007년까지 계획된 산업자원부의 지역전략산업진흥 1단계 사업의 기반으로 경북 북부
권에 생물건강산업 사업화지원센터로서 역할을 할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을 건립하기로 함
· 1차 농업이 주력인 경북 북부권에 R&BD 중심의 벤처창업보육지원을 위한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이
혁신거점 역할을 수행하면서 생물건강산업의 기반을 구축함
· 이 연구에서는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의 1단계 생물건강산업(2002 ~ 2007)의 추진성과를 평가해
보고, 2단계 사업(2008 ~2012)의 방향을 설정하고, 나아가 경북도청 이전에 따른 경북바이오산업
연구원의 역할과 기능의 재정립 방안을 모색함
2. 연구의 주요 내용
· 1단계 생물건강산업의 주요 추진성과를 연도별 평가하고, 경제적 파급효과와 수요자(기업) 및 지역민의
만족도 조사결과를 분석함
· 1단계 사업성과를 평가한 바탕 위에서 2단계 사업의 방향을 다음 4가지 방향에서 설정하였음, ① 특화
분야 설정, ②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 방안, ③ 국내외 마케팅사업 추진 방안, ④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방안
· 경북도청이 경북바이오산업 연구원이 입지하고 있는 안동·예천으로 이전해 옴으로서 경북도청 이전에
따른 제 영향을 분석하고, 도청소재지의 바이오산업 R&BD중심기반으로서 역할과 기능의 재정립
방안을 모색함
- 이전글그린리버 빌리지 조성 연구 : 신 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24.03.20
- 다음글신도청소재지 입지 기준 설정 및 경북 북부권 입지 타당성 24.03.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