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지역진흥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 과 업 명 ] 2단계 지역진흥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과 업 완 료 ] 2007. 2.
[ 과업수행기관 ] 재)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 참 여 연 구 진 ] 남치호(안동권발전연구소 소장, 안동대학교 교수), 안건미(안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정원화(G지대표, 충북도립대학 교수), 권오인(경북도립대학 강사)
과업의 개요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의 2단계 지역산업진흥사업(2008. ~ 2012.)을 대상으로 지역
경제 내 미치는 파급효과를 객관적·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지역 바이오
산업 발전 방안 및 추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 되었던 연구용역”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경북 바이오산업연구원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6년간 시행된 1단계 지역산업진흥사업을 통해
생물한방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2단계 지역산업진흥사업으로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를 목표로 경북바이오벤처프라자건립사업을 비롯하여 경북 생물한방산업기술지원사업,
경북Blue-Green BT 마케팅 활성화 사업, 경북 바이오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추진함
· 2008년도에 1단계 지역산업진흥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평가한데 이어, 2단계 사업을
추진한 후 3차년도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2단계 지역산업진흥사업 전체를 대상으로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객관적·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 바이오산업 발전 방안 및 추진
전략을 수립함으로서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을 경상북도 생물한방산업의 중추적 거점기관이자,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코자 수행됨
2. 과업수행 내용
· 2단계 지역산업진흥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 및 수요자(기업) 및 지역민 만족도 분석
· 경북 바이오 산업연구원과 지역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벤처프라자의 효율적 운용 방안 모색
· 경북 미래전략산업과 성장동력산업으로서의 도약을 위한 지역 바이오산업 연계협력 및 발전 방안 모색
· 경북도청 이전과 관련하여 ‘경북의 신 성장을 견인할 바이오산업 R&BD 중심기관으로서 역할과 기능 재정립 방안 모색
- 바이오벤처 프라자 활성화 및 바이오 산업 혁신클러스터 형성 주도
- 경북 바이오산업 R&BD 혁신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 및 세계시장 진출
- 산·학·연·관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전문인력 양성 및 기능성 바이오 소재 산업 육성, 추진 체계 고도화 등
· 연구원 및 지역바이오 산업 발전을 위한 제안 등
- 이전글안동 종교타운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연구 24.03.20
- 다음글3대문화권 문화·생태 관광기반조성사업 기본구상 및 계획 24.03.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