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도시이미지 통일화 사업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과 업 명 ] 안동시 도시이미지 통일화 사업 연구[ 과 업 완 료 ] 1999. 12.[ 과업수행기관 ] 안동시[ 참 여 연 구 진 ] 안동권발전연구소 연구팀(총괄 : 남치호, 책임연구원 : 장영관, 연구원 : 오창인,김윤희, 연구조원 : 권오인, 전성배, 박효문, 박찬신)
과업의 개요
“안동의 자긍심을 드높이고, 시민의 일체감을 조성하여 새로운 천년의 희망찬 새안동을
창조하기 위해 ‘안동’이라는 이미지의 개성화와 통일화를 추구”
1. 안동시 도시이미지 통일화 사업연구의 목적
· 이미지 통일화 사업(CIP:Corparate Identity Program)이란 특정 조직이나 단체가 독자적인 실체를
가지고 있음을 공중에게 알리는 커뮤니케이션 작업임. 즉 조직이 분명한 존재 의의를 스스로 확인
하고,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하여 대내외 공중에게 이를 인식시킴으로서 보다 나은 경쟁
환경을 만들어 내는 전략임
· 21세기를 맞아 안동시는 세계화, 지방화, 정보화에 적극 부응하고, 안동의 위상과 자긍심을 드높
이고, 시민의 일체감을 조성하기 위해 이 연구용역을 추진하여 연구소에서 ‘안동시 이미지 형성
매뉴얼’을 완성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안동시 市像 조사’, 10여 회에 걸친 연구소 간담회, 시의회
및 집행부Presentation등을 실시하였음
2. 연구용역 수행과정
· 준비단계 : 연구진 및 자문위원회 구성 등
· 조사단계 :
① 델파이방법을 적용하여 안동시 市像에 대한 이해도가 비교적 높다고 판단되는 전문가 및
시민을 대상으로 市像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안동시 市像으로 ‘선비의식’을 정립
② 내부 구성원 의견조사와 현장조사
· 기획단계 :
① C.I전략 수립 및 디자인 Criteria 결정
② 관련 공청회 개최
· 기본시스템 개발 :
① 디자인 전략수립 및 기본 시스템 개발
② 디자인 Refine
③ 시의회 및 집행부 Presentation
④ 기본시스템 개발 확정
· 응용시스템 개발 : 응용시스템 개발 및 Presentation
· 기본 매뉴얼 제작
3. 기본 매뉴얼의 구성
· 안동시 도시이미지 통일화 계획의 기본 체제와 구체적인 전개 방법을 제시한 지침서로서
이미지 통일화의 기본 시스템을 이루는 심벌, 로고타입, 시그니처, 전용색상, 전용서체, 전통
문양, 캐릭터 등을 제시하였음
- 기본 요소
- 심벌마크, 로고타입 등
- 기본체계 : 시그니처, 전용색상, 지정서체, 전통문양, 보더라인 등
- 캐릭터
- 기본형 작도법, 활용형 등
- 기본 디자인 요소, 재생자료 등
- 기본 디자인 요소를 재생, 사용 가능한 제판용 원고 및 색견본
4. 연구소에서 개발된 안동시 심벌마크 및 해설
안동시 심벌마크
안동시의 심벌마크는 안동의 이미지를 대표하고, 집약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C·I(City Identity)
시스템에서 가장 핵심이 되며, 안동시민의 정신적 일체감을 조성하고, 안동시와 시민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요소임.
<전체적 형상>
안동시의 시상市像으로 도출된 선비의식과
한국 전통문화의 중심지임을 태극의 이미
지로 형상화하면서, 낙동강 상류이자 청정
자연환경을 지닌 지역적 특성을 함께 반영.
한국문화의 정체성과 선비의식을 새롭게
구현하고, 이를 무한히 계승시켜 나간다는
뜻에서 우리 민족의 전통 오방색을 주 색채
로 사용하는 한편, 전체적으로 무한대 부호
(∞) 형상을 역동적으로 표현.
<심벌마크의 의미>
중앙의 적색과 우측의 청색은 함께 안동의
‘ㅇ’를 뜻하는 동시에 가장 한국적인 전통
문화와 선비문화의 중심지임을 태극이미
지로 나타내었음.
이 지역에서 꽃 핀 성리학의 우주론적 본체
론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태극사상임.
좌측의 녹색과 우측의 청색은 산태극·수
태극의 특징을 지닌 낙동강 상류의 청정
환경지역임을 뜻함.
문장 내의 바탕색인 흰색은 선비의식과
함께 안동시가 지니고 있는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뜻함.
- 이전글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99 조사연구 24.03.20
- 다음글시민생활과 행정수요에 관한 시민의식 조사연구 24.03.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