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군 축제 혁신 방안 연구 : 수달래 축제와 청송 사과축제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과 업 명 ] 청송군 축제 혁신 방안 연구 : 수달래 축제와 청송 사과축제를 중심으로
[ 과 업 완 료 ] 2007. 2.
[ 과업수행기관 ] 청송군
[ 참 여 연 구 진 ] 남치호(안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김춘식(백석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권오인(경북전문대학 겸임교수)
과업의 개요
“수달래 축제와 사과축제의 혁신 방안을 모색하여 내실있는 문화관광축제로서 위상을
재정립하고, 청송군의 문화적·지역적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추진된 연구”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청송 수달래 축제와 청송 사과축제는 청송이 지니고 있는 수려하고 독특한 청정 자연환경자원과
청정 농산물을 문화·관광자원화하여 문화·관광산업 육성과 청송 농산물의 홍보·판매 증대에
기여해 왔음
· 그러나 청송지역만의 독특한 축제컨셉과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축제의 유인력과 지역마케팅에는
한계가 있었음
· 타 지역에서 개최되고 있는 다수의 유사 축제들의 활성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청송군의 두
축제를 시급히 개선하지 않으면, 문화·관광 경쟁력 제고와 문화·관광축제로서 위상 확보를 기대
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음
· 두 축제의 혁신 방안을 모색하여 내실 있는 문화·관광축제로서 위상을 재정립하고, 청송군의
문화적, 지역 경제적 경쟁력을 제고시키고자 연구용역을 추진함
2. 연구의 내용
· 지금까지 개최된 두 축제의 부분별·종합적 평가 및 혁신과제 도출
· 국내외 유사주제를 지닌 우수·유망축제의 사례연구 및 시사점 도출
· 두 축제의 혁신 방안 모색
- 주제·컨셉 부분
- 기획·프로그램 부분
- 시설·공간연출 부분
- 운영·지원 부분
- 관광·홍보 부분
3. 연구 결과의 적용
· 2008년 이후 두 축제에 수용 가능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청송사과축제의
시설·공간 연출 및 기획·프로그램 부분의 개선속도가 빠른 것으로 판단됨
· 수달래축제의 경우 수달래의 개체수 및 수달래의 개화시기에 따른 축제 일정 문제를 조정해야하는
등의 제약점을 극복하고, 주왕산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
- 이전글신도청소재지 입지 기준 설정 및 경북 북부권 입지 타당성 24.03.20
- 다음글신도청소재지 입지 기준 설정 및 경북 북부권 입지 타당성 24.03.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