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문화콘텐츠산업 육성 방안
페이지 정보

본문
[ 과 업 명 ] 안동시 문화콘텐츠산업 육성 방안
[ 과 업 완 료 ] 2003. 1.
[ 과업수행기관 ] 안동시
[ 참 여 연 구 진 ] 남치호(안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송상호(안동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
이효걸(안동대학교 국학부 교수), 전형도(안동정보대학 애니메이션과 교수),
권오인(안동권발전연구소 상임연구원)
과업의 개요
“안동시가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정책을 선도적,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실제적이고 전향적인 정책대안을 제시”
1. 배경과 목적
· 문화콘텐츠산업은 지식산업적 특성을 그대로 가지면서, 개인과 공동체의 문화적 차원과 깊은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역성이 배제된 문화콘텐츠산업 육성 전략은 사상누각에 지나지 않는다 해도
과언이 아님
· 당시 각 지자체들은 이상과 같은 점들을 깊이 감안하지 못한체 경쟁적으로 문화산업 육성정책을 추구
하고 있었음
· 경쟁력과 지역성을 동시에 감안한 보다 실효성 있는 안동시 문화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하고자 노력하였음
· 당시 중앙정부와 경상북도에서 추진하고 있었던 경상북도 문화콘텐츠진흥원 및 문화산업진흥지구의
안동시 유치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음. 이후 경상북도 문화콘텐츠진흥원이 안동시에 입지
하였으며, 안동시 동부동 일원과 탈춤공원 일원이 문화산업진흥지구로 지정되었음
2. 연구의 내용
· 문화콘텐츠산업의 성장조건과 육성사례 검토
·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의 현황 및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검토
· 안동시 문화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및 산업체의 의견조사
· 안동시 문화콘텐츠산업 육성 방안 제시 및 실행전략 수립
- 전략적 육성부문
- 핵심육성 전략
- 전문인력 양성 방안
- 소요재원 확보 방안
- 법·제도적 개선 방안
- 실행전략(Action Plan)
· 이 연구용역에서 제시되었던 안동시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의 핵심전략은 아래와 같음
- ‘전통문화원형 리소스를 디지털 리소스로 바꾸어 그 자체를 문화상품으로 제공하는 일’과
- 그것을 한 단계 더 진전된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하는 ‘기획된 이야기 문화상품을 제공하는 일
(스토리텔링 : story-telling content provider)’임
- 이러한 두 개의 기본영역 위에 좀 더 산업적인 응용모델을 선택해야함. 일반적인 산업모델
로서 캐릭터·애니메이션·게임산업 육성을 제안함
- 이전글신도청소재지 입지 기준 설정 및 경북 북부권 입지 타당성 24.03.20
- 다음글봉화군 축제와 문화관광의 발전 방안 24.03.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