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유치활동 1. 경북의 東西分道 위기 대응 세미나 개최 : 1989. 10. 21
페이지 정보

본문
“경북의 東西分道 위기에 대응한 세미나를 통해 도청이전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됨”
1989년 당시 정부는 ‘지방행정체제개혁위원회’를 중심으로 전면적 지자체 실시의 선행과제로 전국 16개 分道를 포함한 지방행정구역 개편작업을 추진하였음. 경북의 경우, 남북분도 안과 동서분도 안이 논의되고 있었는데, 동서분도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자, 지역차원에서 위기의식을 느낀 나머지, 1989년 10월 21일 “지자체실시에 대비한 안동권발전의 방향과 추진전략에 관한 세미나”를 연구소와 안동지역발전협의회, 안동대 지역사회개발연구소, 안동상공회의소 등과 공동 개최함
당시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정부정책 연구를 주도하고 있었던 서울대 김안재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남북분도 안과 동서분도 안이 각기 장단점을 고르게 지니고 있다는 중도적 입장을 표명하였음. 이에 안동대 남치호 교수와 부산대 김학노 교수는 지방자치의 핵심적 가치인 지역의 등질성, 역사적 전통성, 지리적 근접성 등을 고려할 때, 분도가 된다면 남북분도 안이 채택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고, 이 세미나에 참석한 지역민들도 ‘우리의 다짐’을 채택하여 이를 적극지지 하였으며, 이 세미나 이후에도 지역민들의 이 같은 여론을 지방행정체제 개편과정에 반영시키려 지속적으로 노력함.
동서분도론에서 지역민들과 연구팀들이 느낀 위기감의 핵심은 결국 도청이전 문제였음. 즉 동서분도가 될 경우 도청이전도 경북 남부의 도시 규모가 큰 구미, 포항 두 도시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남북 간 개발격차가 큰 경상북도의 경우, 남북 간 불균형이 고착될 우려가 컸기 때문이였음
이때 논의되었던 전국 16개 분도 안은 김영삼정부 초기에 추진될 가능성이 매우 높았으나, 실제 추진은 이루어지지 못했고, 시·군통합 만이 추진되었으며, 이 후 연구진들은 동서분도의 우려를 접고 경북의 균형발전을 위해 경북 북부지역으로의 도청유치를 연구해야 겠다는 소명의식이 제기됨.
- 이전글2. 연구소 및 안동대 도청유치 연구분과 활동 : 1989년 10월 ~ 2006년 6월 24.03.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